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따오기의 생태이야기, 따오기의 보전 및 복원 노력

따오기의 개요 따오기는 저어새과의 물새로 1950년대 이전까지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관찰할 수 있는 철새였으나, 1950년 한국전쟁 이후 동아시아지역의 따오기 개체수는 급격히 감소했다. 한때 세계적으로 불과 몇 마리에 불과할 정도로 개체수가 심각하게 감소해 멸절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발견된 개체군을 육성하여 2000년대 이후로 개체수가 회복추세에 있다. 2019년 기준 개체수는 중국에 2,600마리, 일본에 600마리, 우리나라에 363마리가 생존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본은 1952년 따오기를 특별천연기념물로 지정했고, 중국도 1950년대에 일급보호동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현재 따오기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목록(Redlist) 멸종위기종(Endangered sp..

카테고리 없음 2024. 2. 6. 11:53
멸종위기 1급 맹금류 검독수리, 용맹의 상징 독수리 문양

검독수리의 개요 검독수리(학명: Aquila chrysaetos)는 수리과에 속하는 주행성 맹금류이다. 북반구에서 가장 잘 알려진 맹금류 가운데 하나이며, 한때 북반부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서식지파괴로 점차 사라졌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했거나 희귀종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독수리나 이글하면 이 새를 말하는 것이며, 영어로는 Golden Eagle인데 학명과 마찬가지로 황금과 관련되어 있다. 그 이유는 목의 황금색 깃 때문이다. 우리나에서는 2012년 5월 31일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희귀한 겨울철새이자 텃새다. 또한 1973년 4월12일 천연기념물 243-2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 천마산, 내장산, 영월 동강, 두타연 등지에서 번식하였으나, 현재 거의 사..

카테고리 없음 2024. 1. 31. 18:02
쇠족제비의 외형적 생태적 특징, 쇠족제비의 경쟁자

쇠족제비의 개요 쇠족제비(학명: Mustela nivalis)는 족제비과 동물 중 가장 작은 동물로, 식육목 포유류중에서도 가장 작다. 흰족제비, 무산쇠족제비라고도 하며,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 북아메리카 북부를 포함하는 북반구 전 지방의 숲에서 분포한다. 또한 일본의 혼슈, 홋카이도 지방과 러시아 쿠나시르, 이투르프, 사할린 섬에서도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4년 강원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2년 7월에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었다가, 2022년 12월에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상향 조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쇠족제비의 외형적 특징 쇠족제비의 외형적 특징은 작고 길지만 뭉툭한 주둥이와 목보다 ..

카테고리 없음 2024. 1. 30. 14:01
호랑이 새끼 스라소니의 생태, 스라소니의 서식분포 및 보호

스라소니의 개요 스라소니(학명: Lynx lynx)는 특히 북부 유라시아지역에 널리 서식분포하는 중형 고양이과 동물로 주요 분포지는 중앙유럽에서 부터 동아시아 하랄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7세기 문헌에 ‘시라손’으로 불리는 기록이 있으며, 이 단어가 세월이 흘러서 ‘스라손’으로 바뀌었고, 뒤에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탄생한 것이 '스라소니'이다. 서북방언으로는 '시라소니', 동북방언으로는 '씨래소니'라고 부르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 만연, 추만, 토표 등 여러 단어로 표기되기도 한다. 스라소니는 호랑이나 표범과 비슷하게 고양이과 육식동물로 단독생활을 한다. 현재 스라소니와 마찬가지로 스라소니속에 속하는 동물로는 북아메리카의 밥캣(Bobcat)과 캐나다 스라소니(Canada ..

카테고리 없음 2024. 1. 29. 15:17
이전 1 2 3 4 5 6 ··· 8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